본문 바로가기
전기차 배터리

성일하이텍

by 아담스미스 2022. 12. 13.
728x90
반응형

[(삼성/조현렬) SKI-성일하이텍 JV 발표]
 
보고서: https://bit.ly/3HrtD9T

안녕하세요, 조현렬입니다.
 
금일 SK이노베이션과 성일하이텍의 합작법인 발표가 있었습니다.
이에 대한 배경과 시사점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 SKI-성일하이텍, 합작법인 발표
 
금일 SK이노베이션과 성일하이텍은 배터리 재활용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MOU를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SKI가 독자 개발한 수산화리튬 회수 기술과
성일하이텍이 보유한 니켈/코발트/망간 회수 기술을 결합한
국내 JV를 설립하기로 결정했습니다.
2025년 가동목표로 국내에 첫번째 공장을 완공하고,
향후 미국/유럽 등 해외 공장 신설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 SKI, 배터리 재활용 기술
 
SKI는 2017년부터 폐배터리 내 리튬을
수산화리튬 형태로 회수하는 기술을 개발해왔습니다.
작년 12월 상업화 가능성 검증을 위한
데모플랜트를 준공하여 가동 중입니다.
 
 
■ 성일하이텍, 습식제련 선도업체
 
성일하이텍은 국내 유일 대규모 습식제련 공장을 통해
배터리 내 코발트/니켈/망간/구리/탄산리튬 등을 회수하고 있습니다.
습식제련 기술을 활용하는만큼
전처로(리사이클링파크)/후처리(하이드로센터) 공정을 모두 보유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주요 업체로는 유럽 Umicore, 중국 GEM, Huayou Cobalt 등이 있습니다.
 
 
■ JV 설립의 기대효과
 
수산화리튬 회수에 독자기술을 가진 SKI는
금번 JV 설립을 통해 리튬 외 메탈 회수 영역 확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즉, 배터리 재활용 사업에 있어 경제성 확보가 가능해집니다.
성일하이텍 입장에선 신규 배터리업체와 협업을 통해
목표할 수 있는 총 가용시장 확대가 기대됩니다.
또한 최근 가격 상승폭이 가장 컸던 리튬에 있어서,
수산화리튬 형태의 회수를 통해 추가적 수익 창출이 가능합니다.
 
 
■ View, 중장기 관점에서 긍정적
 
SKI는 작년 배터리 자회사 물적분할 발표를 통해
신규 성장모멘텀으로 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꼽은 바 있습니다.
금번 JV가 2025년 가동이기에,
단기 펀더멘털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입니다.
다만 중장기 사업 영역 확장에 있어 적절한 파트너십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중장기 관점에서 긍정적 이벤트로 해석 가능합니다.
 
(컴플라이언스 기승인)

728x90

'전기차 배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에너지솔루션  (20) 2023.01.27
GM도원통형배터리검토  (18) 2023.01.26
전기차배터리코멘트  (26) 2023.01.17
LG에너지솔루션  (15) 2022.12.19
LG에너지솔루션합작사발주  (12) 2022.12.13
탑머티리얼  (14) 2022.11.30
양극재관련주  (47) 2022.11.23
SK온관련주  (8) 2022.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