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외주요이슈

공중전화부스는 진화중

by 아담스미스 2022. 3. 28.
728x90
반응형

 

120년째 통화중, 공중전화부스는 진화중


1902년 3월 한성(서울)과 인천 간 첫 민간 통신용 전화선이 연결됐다. 그로부터 120년이 지났다. 1인 1 휴대전화의 시대가 된 지 오래지만, 재난 등 유사시를 대비해 아직 공중전화는 우리 곁에 남아있다. 전국 3만 6천여 대의 공중전화기 중 4000여 대는 전기차 충전소, 배터리스테이션, ATM기기, 안심부스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돼 우리 생활 속 윤택함을 주고 있다. 다양한 공중전화기와 서울 전역에 설치된 다양한 멀티부스 등으로 변모한 공중전화 부스를 모자이크 작업으로 표현했다.



당산동3가에 설치된 전기차충전소와 결합된 부스에서 한 택시기사가 차량을 충전하고 있다.

숙명여대 사거리에 설치된 전기바이크용 배터리 스테이션에서 이용자가 배터리를 교체하고 있다.

남대문 앞에 설치된 우리동네 방역부스. 코로나 시대에 발맞춰 살균과 탈취, 미세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남대문 앞에 설치된 우리동네 방역부스. 코로나 시대에 발맞춰 살균과 탈취, 미세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ATM기와 결합된 멀티부스. 전화기 위에 올라있는 수화기가 과거를 추억하게 된다.

광화문에 설치된 멀티부스. 공기질 측정기와 은행ATM기기, 위급시 긴급호출을 할 수 있는 안심부스기능을 갖췄다.

왼쪽 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숙명여대 사거리에 설치된 전기바이크용 배터리 스테이션, 남대문에 설치된 우리동네 방역부스, 당산동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 광화문에 설치된 안심부스와 ATM기기와 결합된 멀티부스 모습.

 

 

 

 

 

 

 

 

 

 

 

 

 

 

 

 

 

 

 

 

 

 

 

 

 

 

 

 

 

 

 

 

 

 

 

 

 

 

 

 

 

 

 

 

 

 

 

(출처:https://www.etnews.com/2022032700005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