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벌 주요이슈및 해외증시 투자정보

미국경제리세션

by 아담스미스 2022. 5. 10.
728x90
반응형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40여년만에 치솟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본격적인 긴축정책에 돌입했는데, 미국경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1980년대 초반 나타났던 이른바 더블딥리세션이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내 경제전문가들은 연준이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이 끝났다고 성급하게 선언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연준은 지난 4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통해 금리 0.5%p 인상과 다음달 1일부터 대차대조표 축소 시작 계획을 발표했는데,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발표 후 기자회견에서 일각에서 제기됐던 금리 0.75%p 인상 등 공격적 행보는 고려치 않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경제학자들과 시장 전략가들은 이러한 몇 번의 금리 인상 때문에 짧은 경기 침체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는 것입니다.

연준이 너무 빨리 인플레이션으로부터 승리를 거뒀다고 판단해 향후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면 인플레이션이 다시 치솟아 또 다른 장기적이고 깊은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는 것입니다.

더블딥리세션은 경기가 두 번 떨어진다는 의미로 경기침체가 발생 후 잠시 회복세를 보이다가 다시 침체로 접어드는 현상을 말하는데, 경기순환 그래프가 영문자 'W'(더블유)를 닮았다고 해서 더블유자형 경기변동, 더블유자형 불황이라고도 합니다.

첫 번째 침체는 1979년 말, 1980년대 초에 나타났는데,당시 미국 경제에서 가장 큰 문제가 인플레이션이었는데 1979년 연준 의장에 임명된 폴 볼커는 적극적인 긴축 정책을 펴 국채금리를 인상했었습니다.이와 맞물려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유가를 대폭 인상하자 성장은 부진해지고 긴축 정책의 부정적 영향이 커지면서 1980년 1월부터 7월까지 불황을 맞았습니다.

1980년 후반에는 경기가 다소 회복됐고 이에 연준이 긴축정책을 다시 추진한 결과 1980년 9%로 하락했던 금리가 1981년 중반 19%까지 다시 올랐습니다.이러한 급격한 상승은 다시 불황을 초래했고 이번 불황은 1982년 3분기까지 이어졌습니다.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통제하는 것을 너무 두려워한다면 더블딥 경기후퇴가 나타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연준은 과감한 조치를 취해야 하며,만약 그들이 브레이크에서 너무 빨리 발을 떼면, 인플레이션이 다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데,1980년대 초가 명백한 비교 대상입니다.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을 낮추고 성장을 후퇴하지 않는 연착륙을 이뤄낼 수 있다고 자신감을 보였는데, 어려운 상황이지만 해낼 수 있다는 발언이었는데, 이는 금리 인상 속도는 늦춰질 수 있지만 경제 성장은 저해되지 않을 것임을 의미합니다.

728x90

'글로벌 주요이슈및 해외증시 투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시장주요이슈점검  (9) 2022.05.11
쿼드플러스와사드  (24) 2022.05.10
면화관련주  (21) 2022.05.10
외환시장내일이변곡점  (20) 2022.05.10
이시간주요핵심브리핑  (14) 2022.05.09
한주간증시핵심이슈  (20) 2022.05.09
글로벌증시주요이슈  (2) 2022.05.08
미국ETF투자  (21) 2022.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