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과 세법

한미RDP 추진.美 500조 국방시장 빗장 연다

by 아담스미스 2022. 5. 22.
728x90
반응형
한미RDP 추진…美 500조 국방시장 빗장 연다
 

한미정상회담서 "협의 개시" 합의

성사시 한국산도 '미국산' 대우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집무실에서 소인수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한미가 방위산업분야의 자유무역협정(FTA)이라고 할 수 있는 ‘국방상호조달협정(RDP)’을 추진한다. 협정을 체결할 경우 연간 500조 원에 육박하는 미국 국방조달시장에 우리 방산 기업들의 수출 길이 열릴 전망이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집무실에서 진행된 한미정상회담에서 RDP 협의를 개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가안보실은 “이미 미국의 주요 우방국 대부분을 포함한 28개국이 미국과 RDP를 체결한 상황”이라며 “정책연구용역, 각 계 간담회, 관계 부처 협의 등을 통해 한미 RDP 관련 추진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RDP는 미 국방부가 동맹·우방국들과 상호 군 장비의 호환성을 높이기 위해 체결하는 양해각서(MOU)다. RDP 체결국의 기업은 미국의 국방조달입찰 참여 때 일종의 무역장벽인 ‘미국산우선구매법(BAA)'적용을 면제 받을 수 있다. BAA는 연방정부 공공입찰에 참여한 제품 중 일정 비율(현행 55%→2029년 75%)이상의 부품을 미국산으로 쓰지 않는 제품에 대해선 자국산으로 인정하지 않아 50%의 가격 할증 패널티로 부과하고 있다.

2021년 기준 미국의 연간 국방조발시당규모는 기준 3869억 4184만 달러(약 492조 5769억 원)에 달할 정도로 크다. 과거 한미FTA 체결 때 국방분야가 제외돼 우리 기업들은 현지 진출을 추진할 때는 BAA를 비롯한 무역장벽을 넘어야 했다. 향후 한미RDP가 체결되면 우리기업들은 국방분야 FTA를 체결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정부 당국자들은 전했다.

 

 

 

빅텍

스페코

한일단조

휴니드

휴센텍

퍼스텍

포메탈

루멘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풍산

한일단조

LIG 넥스원

휴니드

한국항공우주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