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정보및 재테크 정보

JW중외제약

by 아담스미스 2023. 8. 9.
728x90
반응형

JW중외제약

 

탈모 환자들이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치료제에 기대고 있다. 제약사들이 혁신적인 탈모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아직 임상시험 초기 단계라 허가를 받아 환자들이 사용하기까지는 갈 길이 멀어 보인다.

탈모 치료 전문가들은 적기에 치료제를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심리적인 스트레스가 크면 오히려 탈모를 키울 수 있다고 조언한다. 더불어 영양 있는 식사와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면서 꾸준히 치료를 받으면 충분히 개선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불붙은 탈모치료제 개발 경쟁…‘부작용 해소’ 관건

탈모는 더 이상 중장년층 남성들의 고민이 아니다. 보통 20대 후반이나 30대 초반부터 안드로겐성 탈모(남성형 탈모)가 시작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탈모로 병원에 방문한 환자 수는 24만 3000여 명으로 2016년 이후 연평균 2.4%씩 증가하고 있다. 환자들 중 43%는 2030 세대 젊은 환자였다.

탈모 환자가 늘면서 치료제 시장도 커지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탈모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0년 기준 약 8조원에 달한다. 매년 8%의 성장을 보이고 있어 오는 2028년에는 지금의 약 두 배 가까이 규모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받은 탈모치료제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로 만들어진 프로페시아 계열(성분명 피나스테리드)과 아보다트 계열(두타스테리드)이다. 고혈압 치료를 위해 혈관 확장제로 개발된 미녹시딜 성분도 피부의 혈류량을 증가시켜 모낭세포의 분열을 촉진하면서 발모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돼 대표적인 탈모치료제로 쓰이고 있다.

하지만 부작용이 발목을 잡는다. 피나스테리드와 두타스테리드는 남성의 경우 성욕 감소 등 성 기능을 둔화시키며, 임신이 가능한 여성(가임기 여성)은 태아의 생식기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미녹시딜은 투약 중단 후 탈모가 재발하거나 피부가 자극받아 가렵고 붉어질 수 있으며, 과다 사용하면 엉뚱한 부위에 털이 자라는 다모증과 저혈압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발모 작용 기전이 명확하고 남성과 여성 모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탈모치료제에 대한 수요가 큰 만큼 제약사들의 탈모치료제 개발 경쟁에도 불이 붙었다. 국내 탈모치료제 시장 규모는 약 1300억 원 규모로 국내 제약사 중에선 종근당(치료제명 CKD-843), JW중외제약(JW0061), 대웅제약(IVL3001) 등이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국을 비롯한 미국과 유럽, 일본, 중국 등 10여개국에 탈모치료제 혁신 신약 후보물질 특허를 출원한 JW중외제약의 경우 내년 상반기 임상시험 개시를 목표로 두고 있다. 독성평가는 비임상시험규정(GLP)에 따라 세계 각 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다. 더불어 임상용 약물 생산과 경피용(도장용) 제제 최적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JW중외제약은 JW0061이 안드로겐성 탈모증, 원형 탈모증 같은 탈모 증상에 효과적이고 예방효과도 우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JW중외제약 관계자는 8일 쿠키뉴스와의 통화에서 “JW0061이 세계 각지 특허로 확보했다는 것은 곧 혁신적인 원천 기술로 인정받았다는 뜻”이라며 “기존 탈모치료제를 대체하는 신약이 될 수 있도록 개발부터 상용화 단계까지 철저히 준비하겠다 라고 밝혔다.

 

 

*JW중외제약은 AI 신약플랫폼을 통해 신약후보물질 10여종 2개의 신약후보물질을 기술수출함. 총 5336억원 규모입니다.

*아토피 신약 ‘JW1601’과 통풍 신약 ‘URC102’이 각각 덴마크 레오파마와 중국 심시어제약에 기술이전된것입니다.

*기술수출 규모는 JW1601은 4억2000만달러(약 4500억원), URC102은 7000만 달러(약 836억원)로 총 5336억원, 이 중 반환 의무 없는 계약금(upfront)은 각각 1700만달러(약 190억원), 500만달러(60억원). URC102은 임상 1상 주요 결과 확인에 따른 마일스톤 168만달러(약 21억원)를 2021년 3월 수취 완료.즉 AI 신약개발로 최소 271억원은 확실히 벌어들이는 셈입니다.

*증권가에서는 JW중외제약이 올해 하반기 이후 JW1601의 임상 2상 완료에 따른 마일스톤 200억원이 유입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1.AI신약플랫픔으로 발굴한 물질 중 탈모 치료제 ‘JW0061’는 조만간 기술수출 성과가 나타날것으로 전망됩니다.

2.탈모치료제 JW0061는 세계 최초로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하여 모발세포를 활성화하는데 성공한 물질입니다.

3.기존 탈모 치료제인 피나스테리드, 미녹시딜은 머리가 덜 빠지게 하는 약입니다.다만 이런 치료제가 전립선에 안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서가 발표되었습니다. 실제로 제 지인분도 미녹시딜을 복용후에 전립선이 조금 안좋아진듯한 느낌을 받았다고 복용을 전면 중단한 상태입니다. 새로운 치료제를 찾는 중이라고 언급하십니다.

4.JW0061은 모낭에서 모발이 새로 날 수 있는 획기적 개념인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미 전임상 즉 동물대상으로 실험을 했는데 확실한 효과를 보였습니다. 다수의 제약사가 관심을 가지고 기술 수출 협상 진행중인것으로 증권가에 알려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부가적으로 첨언 드리면 국내 바이오 업체들이 탈모치료제를 올하반기에도 연달아 출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식약처 승인만 받으면 판매는 이루어질것으로 전망됩니다.

물론 비상장 바이오업체입니다. 굳이 회사명은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728x90

'주식투자정보및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오플러스  (12) 2023.08.10
투자보고서  (8) 2023.08.10
이차전지  (65) 2023.08.09
금일마감시황  (12) 2023.08.09
이오플로우하락원인  (5) 2023.08.09
바이오섹터  (23) 2023.08.09
장중투자정보  (10) 2023.08.09
제이브이엠  (5) 2023.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