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

반도체가격동향과핵심기술

by 아담스미스 2023. 11. 11.
728x90
반응형

반도체가격동향과 핵심기술

 

 

 

[SK증권 반도체/한동희, 김진형]

11월 1일~10일 반도체 수출액 잠정치

DRAM 4.3억 달러 (+36% MoM)
DRAM 모듈 1.6억 달러 (+42% MoM)
NAND 1.6억 달러 (-18% MoM)
MCP 4.0억 달러 (+37% MoM)
SSD 1.2억 달러 (+7% MoM)

[11월 1~10일/10월 1~31일] 10월 전체 대비 비중
DRAM 38%
DRAM모듈 20%
NAND 29%
MCP 22%
SSD 30%

 

올상반기 반도체 세트업체들 대폭적인 감산효과로 인해 3분기 들어서면서 반도체 재고물량이 급격히 감소추세에 있으며 D램의 경우 DDR5 교체수요가 급증 중이며 낸드플래시 또한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의 감산효과로 내년 1분기부터 수요증가로 인한 가격상승으로 빠르게 매출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HBM의 경우 엔비디아향 뿐만 아니라 AMD 구글 오픈 AI  MS 애플 마이크론테크놀로지  수요대비 공급물량이 4분기 들어서면서 최대 4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이미 국내에서는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엔비디아향 품질테스트에 통과한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한 추가적인 장비와 부품 발주가 4분기부터 본격화 될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반도체는 2분기 저점을 찍고 3분기부터 본격적인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사진출처:skc 블랭크 마스크)

 

에프에스티 EUV펠리클 시장점유율 80% 차지

(출처:에프에스티)

EUV펠리클의 경우 대만의 TSMC는 자체 개발에 성공하여 사용 중이며 삼성전자의 경우 EUV 노광장비 업체인 ASML제품을 수입하여 사용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삼성전자가 에스앤에스텍과 에프에스티에 지분을 투자하였으며 두 기업들은 EUV펠리클 투과율이 91%인 제품에 성공하였습니다.

삼성반도체 입장에서도 수입대체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데 문제는 아직 국산 제품에 대한 성능검증에 대한 확신을 못하고 있는 것으로 그로인해 국산제품을 상용화에 투입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최근 에프에스티 공시 내용을 보시면 EUV펠리클 공장에 수백억을 투자를 단행하였습니다. 이는 삼성반도체에서 국산 펠리클을 사용을 곧 가시화가 되어가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이럴 경우 수입대체효과뿐만 아니라 국내 관련기업 매출과 영업이익률은 대폭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앞서 언급한 에스앤에스텍과 에프에스티의 주가 또한 앞으로 최소 2배 이상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728x90

'반도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UV노광장비  (35) 2023.11.23
반도체  (5) 2023.11.23
엔비디아실적발표  (85) 2023.11.21
지오엘리먼트  (18) 2023.11.15
엘오티베큠  (7) 2023.11.08
반도체부품  (14) 2023.11.03
삼성반도체낸드플래시관련주  (76) 2023.11.02
반도체업황개선  (25) 2023.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