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기차 배터리161

2차전지장비관련주 전기차 배터리 제조공정에 필요하는것은 소재,장비,부품이 핵심요소입니다. 이중에서 제일먼저 전기차 배터리 공장 준공시에 발맞춰서 장비 반입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최근 국내 전기차 배터리제조 업체인 SK온,LG에너지솔루션,삼성SDI는 국내외 전기차 배터리 제조공장에 막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동유럽의 헝가리,인도네시아,중국등지에 배터리 제조공장을 합작법인 까지 세우면서 전기차배터리 확보에 지속적인 투자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완성차 업체들까지 전기차 배터리와 차세대 배터리 공장 투자에 막대한 투자를 단행하면서 향후 2차전지 장비수요는 급속도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이뿐만 아니라 글로벌 자동차메이커 업체들도 배터리 내재화를 서두르면서 배터리 제조공장에 막대한 추자를 단행.. 2022. 4. 21.
동원시스템즈 동원시스템즈, 2차전지용 원통형 배터리 캔 양산 돌입 동원시스템즈 칠곡사업장에서 21700 규격 원통형 배터리 캔이 생산되고 있다.(동원시스템즈 제공) 동원시스템즈는 기존 18650 규격(지름 18㎜, 높이 65㎜) 원통형 배터리 캔 대비 에너지 용량을 30% 이상 늘린 21700 규격(지름 21㎜, 높이 70㎜) 원통형 배터리 캔의 양산에 돌입했다고 19일 밝혔다. 동원시스템즈는 지난 1월 21700 규격 원통형 배터리 캔의 내식성을 높이는 기술을 업계 최초로 개발해 완제품 생산에 성공하고 국내 2차전지 제조 회사로부터 제품 승인을 획득했다. 칠곡군에 위치한 칠곡사업장에 21700 캔을 양산할 수 있는 생산 체계를 구축하고 3월부터 판매를 시작했다. 아울러 배터리 캔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상반기 .. 2022. 4. 19.
리비안관련주 미국 전기자동차 업체 리비안의 R.J. 스캐린지 최고경영자(CEO)가 전기차 배터리 공급 부족 문제를 경고했습니다. 그는 일리노이주 생산 공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전 세계 모든 배터리 셀 생산량을 합치면 향후 10년 동안 우리가 필요로 하는 배터리의 10%도 안된다면서 배터리 공급망의 90∼95%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라고 밝혔습니다. 글로벌 전기차 공급은 증가하는 반면에 전기차 소재 부족으로 인해 배터리 공급이 부족하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이어 최근 반도체 칩 공급난은 배터리 부족 상황과 비교하면 약과에 불과하다고 강조했으며,그는 전기차 배터리 원료의 채굴부터 가공, 배터리 셀 제작까지 곳곳에서 부족 현상이 발생할 것이며,반도체 부족은 작은 애피타이저(전채요리) 라고 말했습니다. 리비안관련주에 대해 .. 2022. 4. 19.
스텔란티스-K배터리 합작 프로젝트 이달 스타트 '스텔란티스-K배터리' 합작 프로젝트 이달 스타트 삼성SDI 공장 위치 확정 각 사별 역할 분담도 포함 세계 4위 완성차 업체인 스텔란티스와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와의 전기차 배터리 합작사가 이달 본격화된다. 구체적인 지분율, 투자액, 생산할 배터리 종류와 공정 담당 등 구체적인 사안이 결정될 예정이다. 스텔란티스는 피아트크라이슬러(FCA)와 푸조시트로엥(PSA)이 합병해 탄생한 기업이다. 지난해 1월 출범했다. LG엔솔, 삼성SDI와의 합작사를 통해 북미 전기차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오는 2025년까지 전기차 전환에 300억유로(약 41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국내 배터리 업체들의 북미 시장 공략을 위한 한 축이 될 전망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스텔란티스와 LG에너지솔루션, 삼성S.. 2022. 4. 16.
포스코케미칼 포스코케미칼, 양극재 생산량 '두 배' 확대 광양 공장 3‧4단계 확장 6월 가동 하이니켈 NCMA 양극재 생산 포스코케미칼 양극재광양공장 전경 포스코케미칼이 양극재 생산량 두 배 확대를 목전에 뒀다. 국내 최대 양극재 생산 기지인 광양 공장의 3‧4단계 증설이 조만간 마무리 되는 것으로 13일 전해졌다. 현재 마무리 공사가 진행 중이다. 늦어도 6월에는 준공과 사용승인, 상업가동이 이뤄질 계획이다. 이번에 가동될 3‧4단계 증설로 광양 공장의 연간 양극재 생산량은 3만톤(t)에서 6만t로 늘어난다. 특히 이곳은 배터리 양극재 생산에 필수족인 리튬(포스코리튬솔루션)과 프리커서(전구체)는 물론 폐배터리 재활용(포스코HY클린메탈)에 이르기까지 양극재 생애주기에 걸친 생태계 구축이 목적이다. 3‧4단계 생산 .. 2022. 4. 14.
원준 원준, 포스코케미칼 양극재 증설 수혜 원준 에 대해 주요 고객사인 포스코케미칼 의 증설 수혜가 기대됩니다. 원준은 전고체 전지 등 신사업 매출 가시화와 주요 고객사 양극재 및 음극재 대규모 증설에 따른 성장 모멘텀을 확보했습니다.글로벌 양극재 시장은 2025년까지 연평균 33.3% 성장이 전망 됩니다. 원준의 주요 고객사인 포스코케미칼 은 2020년 4만톤에서 2025년 27만톤, 2030년 40만톤까지 양극재 생산량을 확대하기 위한 증설을 진행예정입니다. 광양 공장은 2단계 증설 후 올해 기준 4만톤의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습니다.진행 중인 3, 4 단계 증설 작업 후 연간 10만톤의 양극재 생산이 기대됩니다.이어 포스코케미칼의 이번 증설은 대부분 공장 자동화 라인으로 라인당 수주 물량이 증가할 것으로 .. 2022. 4. 1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