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벌 주요이슈및 해외증시 투자정보

국제곡물비상

by 아담스미스 2022. 5. 7.
728x90
반응형

4월 세계식량가격지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던 전월보다 소폭 하락했지만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하면 70% 가까이 폭등세를 유지했으며,러시아의 분쟁 등의 영향으로 치솟은 곡물과 유지류는 다소 하락했으나, 육류와 유제품, 설탕은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곡물 수입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로서는 세계 곡물 가격 변동성에 따른 물가 충격이 가중되고있는데.,더욱이 주요 곡물생산국들의 식량무기화 가능성까지 제기되며 식량문제를 국가안보로 인식하고 법제화를 통해 대응력을 키워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7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4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59.7포인트(p)) 대비 0.8% 하락한 158.5p를 기록했습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조사해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작성·발표하고 있습니다.

3월 식량가격지수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는데,지난달 소폭 하락하긴 했지만 전년 동월(122.1p) 대비 29.8% 상승한 수치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4월(93.6p)과 비교하면 무려 69.3%나 치솟은 상태입니다.

곡물 가격지수는 전월(170.1p)보다 0.4% 하락한 169.5p로 나타났으며,밀은 분쟁국 수출항구 봉쇄가 계속되면서 가격 상승세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다만, 인도 등 수출 증가로 상승 폭은 제한되었으며,옥수수는 남미에서 수확이 진행되면서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쌀은 아시아 지역 수요 증가에 따라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유지류도 전월(251.8p)보다 5.7% 하락한 237.5p를 기록했으며,팜유는 중국 등 수요가 감소하며 가격이 하락했지만 인도네시아 수출 감소 우려로 인해 하락 폭은 크지 않았습니다.

육류는 전월(119.3p)보다 2.2% 상승한 121.9p로 집계되었으며,유제품은 전월(145.8p)보다 0.9% 상승한 147.1p를 기록했습니다. 설탕은 전월(117.9p)보다 3.3% 상승한 121.8p로 나타났습니다.

FAO는 2021~2022년 세계 곡물수급과 관련해 세계 곡물 생산량은 279억9300만t으로 2020~2021년도 대비 0.8%(2억2600만t)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는데, 세계 곡물 소비량은 278억4900만t으로 같은 기간 대비 0.9%(2억6000만t)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또한,러시아군이 분쟁국  곡물을 약탈하고 곡물 저장고를 파괴한 증거가 늘고 있다고 유엔 고위 관리가 밝혔습니다.

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시장·무역 담당자 인 요제프 슈미트후버는 러시아군이 곡물과 농기구를 훔쳐 트럭으로 러시아로 보냈다고 밝혔습니다.

전쟁의 장기화로 인해 올해 올 하반기 국제곡물가격이 또다시 천정부지로 치솟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내 식품업체들도 추가적인 가격인상을 검토중인 가운데 라면,빵,과자,음료,주류 등 해외 원료 수입의존도가 높은 제품일수록 추가적인 가격인상이 이루어 질것으로 전망됩니다.

갈수록 식량의 무기화 전략이 국제 거래 시장에서 먹혀 들어가고 있다는게 큰 우려감을 낳고 있습니다. 저개발 도상국들과 중동과 아프리카의 경우 올해 식량으로 인한 국가 GDP감소 이루어지면서 또다른 정치와 경제적인 불안요인으로 부각 될것으로 전망됩니다.

앞서 언급드린 이런 주된 요인들로 인해 대한민국의 경우 스테그플레이션으로 인한 실물경제 침체 타격우려 감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제곡물가격 추가 상승은 자칫 경상수지 적자폭이 지속될 우려감이 있으며 하반기 GDP 주된 감소 요인으로 부각될수 있습니다. 

728x90

'글로벌 주요이슈및 해외증시 투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주간증시핵심이슈  (20) 2022.05.09
글로벌증시주요이슈  (2) 2022.05.08
미국ETF투자  (21) 2022.05.08
자율운항선박  (20) 2022.05.07
독일에너지위기에LNG선수요증가예상  (12) 2022.05.07
S&P500 헤드앤숄더완성중  (10) 2022.05.07
중국봉쇄길어질듯  (36) 2022.05.06
일진머티리얼즈  (10) 2022.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