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벌 주요이슈및 해외증시 투자정보

한주간증시핵심이슈

by 아담스미스 2022. 5. 9.
728x90
반응형

인플레이션 진정됐을까


이번주 하이라이트는 11일 공개될 CPI, 이튿날인 12일 발표되는 생산자물가지수(PPI)입니다.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인상 행보를 가를 핵심 변수이기 때문입니다.

주식시장은 4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0.75%포인트 금리인상은 없다고 못박은 덕에 큰 폭으로 올랐지만 곧바로 5일과 6일에는 급락세를 기록했는데,그 이유는 연준 통화정책 긴축 전환 충격이 뒤늦게 투자심리를 강타한 탓이었습니다.

이때문에 이번에 발표되는 4월 CPI는 그 어느때보다 시장의 관심을 부를 수밖에 없습니다.


3월 전년동월비 8.5% 상승해 40년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CPI가 4월에는 상승폭이 둔화됐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4월 CPI가 전월비 0.3%, 전년동월비 8.2% 상승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국 봉쇄


지난주 주식시장을 압박했던 중국 변수도 계속해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의 제로 코로나19 정책에 따른 대도시 봉쇄가 공급망 차질 심화와 이에따른 인플레이션 압박, 연준 금리인상 강화 우려라는 연쇄반응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시장이 계속해서 인플레이션과 이를 잡기 위한 연준의 고강도 대응을 우려하는 한편 중국 경제 봉쇄 충격에 대해서도 긴장을 늦추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국의 봉쇄가 전세계 경제 둔화 우려를 불러일으키면서 주식시장도 압박하고 있습니다.

중국정부는 상하이 확진자가 감소세임에도 불구하고 5월말까지 봉쇄를 지속할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상당기간 글로벌공급망 문제와 국제물동량 감소로 인해 공급망에 막대한 차질이 불가피할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G7회담에서 러시아 원유수입 중단 조치를 내리면서 국제유가가 급격히 폭등할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로인한 인플레이션과 스테그플레이션은 더욱더 고조되면서 연준으로 하여금 보다 공격적인 금리인상의 빌미를 초래할것으로 전망되며 신흥시장 뿐만 아니라 유럽금융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금 이탈이 굉장히 탄력적으로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자칫 저개발 국가들 연쇄적인 디폴트와 구제금융 위기의 도화선을 초래할수 있을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은행 빠른 미국연준과 통화스왑정책과 보다 공격적이고 탄력적인 금리인상에 나서야 할것으로 전망됩니다. 지금 금리인상을 낮게하거나 늦추면 한미간 금리역전현상이 지속되면 그만큼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급격히 줄어들수가 있게됩니다.

부동산 정책은 급격한 추진은 반드시 대한민국 경제를 파탄으로 이끄는 정책으로 변모할것입니다. 단계적인 정책추진이 아닌 지금 부동산규제완화와 대출규제 완화는 반드시 국가경제에 엄청난 후폭풍이 뒤따를 것입니다. 부동산 개발 정책은 일시적일 뿐 지속적인 성장을 할수가 없으며 오히려 국민들만 가계대출 빛에만 허덕이는 꼴을 만들게 됩니다. 사실상 후진국인 일본경제를 절대 답습해선 안될것입니다. 그에 따른 후폭풍은 국민들이 고스란히 떠안게 된다는 것을 분명하게 알아둬야 할것입니다. 정치적인 판단 미스는 지금 분쟁을 겪고 있는 두국가 국민들 사태를 보면서도 깨닫지 못한다면 굉장히 어리석은 인간으로 밖에 안보인다 하겠습니다. 

비단 저 두국가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분명하게 알아두시고 그걸 뒤늦게 깨닫게 되면 그땐 후회해도 소용없게되는 것입니다. GDP의 95%를 부동산에 몰빵치는 국가는 대한민국 빼고는 눈씻고 찾아봐도 없습니다. 지극히 비정상적인 경제 구조입니다. 수출경쟁력 강화와 차세대 미래기술 개발에 집중 투자에 더욱더 집중할때라 보여지며 대한민국은 인구절벽으로서 심각한 위기입니다. 더이상의 부동산규제 완화는 분명히 말하지만 시한부 암환자로 전략할것 입니다. 

 

 

728x90

'글로벌 주요이슈및 해외증시 투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화관련주  (21) 2022.05.10
외환시장내일이변곡점  (20) 2022.05.10
미국경제리세션  (13) 2022.05.10
이시간주요핵심브리핑  (14) 2022.05.09
글로벌증시주요이슈  (2) 2022.05.08
미국ETF투자  (21) 2022.05.08
자율운항선박  (20) 2022.05.07
국제곡물비상  (16) 2022.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