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도체166

반도체관련주급등이유 반도체관련주급등이유 [TSMC 2024년 가이던스 서프 요인] TSMC는 4 Q23 실적발표에서 FY24 매출 가이던스로 YoY+ 20-25% 성장을 제시, 기존 시장 컨센 YoY+20% 을 상회 1) AI 가속기 수요 강세 - FY24 CoWoS 캐파는 예정대로 두배로 늘릴 계획 - 여전히 AI 반도체 수요가 강세를 보이며, 2025년까지도 CoWoS 캐파는 타이트할 것으로 전망 - AI 수요 강세에 따라, 2027년 중장기 AI 데이터센터 매출 비중 전망치 10-15% -> 15-20% 으로 상향 2) 3나노 수요 강세 및 생산 램프업 순항 - 웨이퍼 매출에서 3 나노 비중은 FY23 6% -> FY24 15%까지 늘어날 것, 물량으로는 세 배 이상 증가를 전망 - 특히 모든 아이폰 모델이 3 나노 .. 2024. 1. 19.
반도체 [반. 전] 모빌아이 쇼크를 겁내지 마세요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입니다. 요즘 주가 분위기도 안 좋은데, 어젯밤에는 모빌아이가 충격적인 가이던스를 제시하며 또다시 찬물을 끼얹었습니다. ■ 모빌아이 가이던스 vs 컨센서스 (FactSet) - 2024년 매출 전망 18.3~19.6억 달러 (-9% y-y)는 컨센서스 25.0억 달러 (+20% y-y)를 22~27% 하회 - 1Q24 매출액 2.3억 달러 (-50% y-y)는 컨센서스 5.4억 달러 (+17% y-y)를 57% 하회 모빌아이 같이 독보적인 ADAS 칩 업체가 대형 쇼크를 냈다는 점에서 재고 논란이 또다시 제기될 수는 있지만, 넓게 봐도 차량 반도체에 국한될 뿐, 전체 반도체 시장의 흐름을 바꿀만한 요인은 아니라는 .. 2024. 1. 5.
삼성파운드리 삼성파운드리 (루머) 삼성파운드리, 고객유치위해 1Q24 가격 5~15% 인하 (자료: 대만경제일보) (https://money.udn.com/money/story/5612/7687130)) - 모빌아이 ADAS 칩 전망 낮춘 후에 이어서 나온 루머라서 관련분야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 생각보다 수요가 안 올라오면서 가격인하를 조금 더 많이 했다는 코멘트 - 아직 가전이 올라오지 않았고 웨이퍼 파운드리 주문 부진, TSMC는 가격조정 거의 없으나 UMC, Power Semi 등은 1Q 두 자릿수 가격인하 게획 발표 - 전통적으로는 비수기라서 재무 안정을 위해 생산캐파 가동률을 올리는 게 가장 빠르고 효과적이라는 판단 하에 이뤄졌다는 내용 三星搶單 晶圓代工大降價 顯示半導體市況波濤洶湧 | 產業熱點 | 產業 |.. 2024. 1. 5.
에이엘티 [현대차증권 스몰캡/방산기계 곽민정] 에이엘티(172670) NOT RATED 전력 반도체 + 알파의 후공정 다크호스 투자포인트 및 결론 - 동사는 비메모리 반도체 웨이퍼 테스트와 패키징 테스트 전문 업체이자, IGBT 테스트를 위한 립컷 공정 전문 업체로서, 3 Q23 매출 기준 웨이퍼 테스트 89.9%, 파이널테스트 0.1%, 립컷 9.8%를 차지함. - 주요 테스트 제품군은 DDI, CIS, PMIC, MCU 위주이지만 메모리 컨트롤러와 AP, EMIC까지 대응 제품군을 확대하여, 반도체 턴어라운드가 기대되는 2024년부터는 동사의 실적 성장 폭이 커질 것으로 기대됨. 주요 이슈 및 실적전망 - 동사의 경쟁력은 국내 테스트 하우스 중 유일하게 IGBT 테스트를 위한 림컷(Rim Cut) 공정을 일괄.. 2024. 1. 5.
D램가격인상루머 삼성·마이크론, 1분기 D램 가격 15~20% 인상 루머 인공지능과 고성능 컴퓨팅 애플리케이션의 증가로 시장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 스마트폰 시장의 재고 보충 등 글로벌 메모리 거대 기업들의 감산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조합은 메모리 가격의 지속적인 상승, 특히 NAND 플래시의 놀라운 급등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TechNews의 보고서에 따르면 , 오늘 시장에는 DRAM 가격 상승 추세가 다시 나타나고 있다는 소문이 다시 돌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2024년 1분기에 15%에서 20%까지 가격 인상을 시행하겠다는 삼성과 마이크론의 계획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현재 시장에서는 2024년에는 스마트폰과 PC 시장의 점진적인 회복과 인공지능, 고성능 컴퓨팅의 확산으로 DRAM 수급이 타이트할 것으로 예상하고 .. 2024. 1. 3.
낸드플래시가격50%인상가능성 낸드플래시가격 50% 인상가능성 글로벌 주요 메모리반도체 제조사들이 낸드플래시 가격을 50% 이상 인상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64598 [더구루] 삼성·SK하이닉스·마이크론 등 낸드 가격 '50%↑' 공격적 인상 전망 [더구루=정예린 기자] 글로벌 주요 메모리반도체 제조사들이 낸드플래시 가격을 50% 이상 인상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업황 개선 시그널이 곳곳에서 감지되는 가운데 수요와 가격 반등에 힘 www.theguru.co.kr 최근 D램가격 동향뿐만 아니라 낸드플래시 가격도 동반 상승 랠리 지속입니다. 세트업체들도 다시 증산을 채비를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실제 가격 상승이 이루어지면 관련기업.. 2024. 1. 2.
728x90